인간과 동물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언어를 사용해 의사소통을 하고 기록을 남기며 도구를 이용하고 발전시켜 육체적 한계를 극복한다는 점이다. 인간의 이러한  영묘한 능력으로 만물의 영장이라고 했다.

아프리카에서 집단으로 서식하는 사자의 무리가 사냥을 하는 장면을 보면 사냥감을 몰아가는 역할, 매복해서 덮치는 역할, 마지막 숨통을 끊는 역할 등 각자 맡은 임무를 수행하여 먹이 사냥을 하는데 언어가 없는 이들은 어떤 방법으로 각자의 역할을 나누고 어떻게 전달되었는지 궁금할 때가 있다. 

야생의 동물들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본능과 단순해 보이는 행동들을 끊임없이 반복하여 생존기술을 습득하는데 어린 고양이과 동물들이 물고 할퀴는 동작을 반복하는 놀이를 통하여 훗날 그들의 생존에 필요한 사냥기술과 천적으로부터 살아남는 기술을 익히는 학습의 과정이라 한다.

백수의 제왕 사자가 진정한 상위 포식자의 위치를 확보하는 것도 어린 시절 혹독하고 끊임없는 반복학습을 통하여 생존의 기술을 익혔던 결과이며 그런 과정이 없다면 아무리 사자라 해도 도태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면 만물의 영장인 인간은 어떠한가?

갓 태어난 순간의 인간의 모습은 다른 동물에 비하여 너무도 나약하고 생존에 필요한 능력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인간은 동물보다 더 혹독하고 끊임없는 학습을 통해 생존 능력을 높여가야 하는 것이다.

먹이사슬의 최 정점에 있는 인간에게 가장 위협이 되는 것은 화재를 비롯한 각종 재난이기 때문에 그런 위험을 예방하고 그러한 상황에서 살아남는 기술을 익히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고 하겠다.

돌이켜 보면 기나 긴 학창시절 동안 위험으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체계적으로 교육받은 기억이 없기 때문에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안전 불감증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로 보인다.

다행히 요즘은 각 급 학교에서 안전에 관심을 갖고 소방관서에 강의를 요청하는 일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안전교육을 시키는 것은 미래의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갈 주인공들이기에 그나마 희망적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의 관심은 안전 보다는 시험 성적에 대한 관심이 절대적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시험에 나오지도 않는 안전교육에 대한 관심을 바라는 것도 너무도 현실과 동떨어진 생각인지 모르겠다.

야생에서의 동물들은 살아남기 위한 반복 학습을 하지만 우리 인간의 천적은 화재를 비롯한 각종 재난이기에 그 재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벗어나서 생존하는 그런 문제의 심각성을 깨우쳐 주어야 하며 소방안전교육을 필수과목으로 편성하여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을 하여야 하는 것이다.

다시는 이 땅에서 세월호 침몰과 같은 참사가 일어나지 말아야겠다.

저작권자 © 뉴스투데이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